인서울 '전기공학과' 학생부종합전형 경쟁률 및 합격컷 순위
- 서울시립대 전자전기컴퓨터공학부 면접형 35.8대 1, 중앙대 전자전기공학부 CAU융합형인재 32.25대 1 순
-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지역균형선발 1.13등급, 연세대 1.75등급
서울 및 수도권 주요 대학 전기공학과에서 학생부종합전형으로 선발하는 대학은 모두 24개 대학이며 총 739명을 모집한다.
'전기공학' 키워드로 조사한 자료로 전기공학과 외에 전기전자공학부, 전기정보공학부, 에너지전기공학과, 전기·생체공학부 (바이오메디컬공학), 전기·생체공학부 (전기공학) 등이 포함됐다.
이 가운데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적용하는 대학은 고려대 학업우수형, 서울대 지역균형선발전형, 서울시립대 서류형, 연세대, 이화여대, 한양대 추천형, 홍익대로 7개 대학이다. 모집인원은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가 80명으로 가장 많으며, 홍익대 48명, 성균관대 융합형 45명, 건국대 40명 순으로 많은 인원을 모집한다.
2024학년도 경쟁률이 가장 높은 대학은 서울시립대 전자전기컴퓨터공학부 학생부종합Ⅰ(면접형)으로 35.8대 1을 기록했으며, 이어 중앙대 전자전기공학부 CAU융합형인재 32.25대 1, 한양대 전기·생체공학부(바이오메디컬공학) 서류형 28.08대 1, 성균관대 전자전기공학부 탐구형 27.4대 1 순이다. 반면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는 지역균형선발이 4.73대 1, 일반전형이 6.25대 1로 비교적 낮은 경쟁률을 보였다.
2023학년도 합격컷은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지역균형선발전형이 1.13등급으로 가장 높았고, 연세대 1.75등급, 중앙대 CAU융합형인재 1.88등급, 고려대 일반-학업우수형 2.09등급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비교적 낮은 합격컷을 보인 대학은 명지대 전기공학과 명지인재면접형으로 4.46등급, 가천대는 4.23등급이다.
대학별 전형방법을 살펴보면, 가천대 전기공학과는 가천바람개비전형으로 10명을 모집한다. 1단계에서 서류 100%로 5배수를 선발한 다음, 2단계에서 1단계 성적 50%와 면접 50%를 반영해 선발하며, 2024 경쟁률은 16대 1, 2023 합격컷은 4.23등급이다.
건국대 전기전자공학부 KU자기추천전형의 모집인원은 40명이며, 1단계에서 서류 100%로 3배수를 선발한 다음 2단계에서 1단계 성적 70%와 면접 30%를 반영해 모집한다. 2024학년도 경쟁률은 20.2대 1. 2023 합격컷은 2.48등급을 기록했다.
고려대 전기전자공학부는 일반-계열적합형으로 20명, 일반-학업우수형으로 39명을 선발한다. 학업우수형은 서류 100%로 선발하며, 수능 최저학력기준은 국어, 수학, 영어, 과학(1과목) 중 4개 영역의 등급 합이 8 이내, 한국사 4등급 이내여야 한다.
계열적합형은 1단계에서 서류 100% 5배수를 모집한 다음, 2단계에서 1단계 성적과 면접을 각각 50%씩 반영해 선발하며 수능 최저학력기준은 적용하지 않는다. 고려대 학업우수형은 12.75대1 의 경쟁률에 2.09등급, 계열적합형은 10.11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지역균형선발전형은 1단계에서 서류 100%로 3배수를 선발한 다음, 2단계에서 1단계 성적 70%와 면접 30%를 더해 11명을 모집하며, 수능 최저학력기준은 국어, 수학, 영어, 탐구(2과목) 3개 영역 등급의 합이 7 이내여야 한다. 2024 경쟁률은 4.73대 1, 2023 합격컷은 1.13등급이다.
일반전형은 1단계에서 서류 100%로 2배수를 선발한 다음, 2단계에서 1단계 성적과 면접을 각각 50%씩 반영해 선발하며 수능 최저학력기준은 적용하지 않는다. 2024 경쟁률은 6.25대 1, 2023 합격컷은 2.19등급이다.
성균관대 전자전기공학부는 탐구형으로 10명, 융합형으로 45명, 과학인재전형으로 45명을 모집한다. 탐구형은 서류 100%로 선발하며, 2024 경쟁률은 27.4대 1, 합격컷은 2.11등급, 융합형은 14.31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과학인재전형은 1단계에서 서류 100%로 7배수를 모집한 다음 2단계에서 1단계 성적 70%와 면접 30%를 더해 선발하며, 2024 경쟁률은 9.9대 1이다.
연세대 전기전자공학부 활동우수형은 1단계에서 서류 100%로 4배수를 모집, 2단계에서 1단계 성적 60%와 면접 40%를 더해 36명을 모집하며, 수능최저기준은 국어, 수학, 과학 중 수학을 포함한 2개 영역 등급 합이 5 이내면서 영어 3등급과 한국사 4등급 이내여야 한다. 탐구영역은 평균 등급이 아닌 개별 과목등급 기준으로 인정한다.
중앙대 전자전기공학부는 CAU융합형인재로 9명, CAU탐구형인재로 15명을 모집한다. CAU융합형인재는 서류 100%로 모집하며, 2024 경쟁률은 32.25대 1, 2023 합격컷은 1.88등급이다. CAU탐구형인재는 서류 100%로 3.5배수를 선발, 2단계에서 1단계 성적 70%에 면접 30%를 더해 최종 선발하며, 20.5대 1의 경쟁률에 2.59등급을 기록했다.
다음은 서울 및 수도권 대학 전기공학과의 모집인원, 전형 방법, 수능 최저학력기준, 경쟁률과 합격컷을 조사한 자료로, 등급컷이 없는 대학은 데이터 추출시까지 자료 미공개 대학이거나 자료가 없는 것이다.
■ 서울 및 수도권 대학 전기공학과 학생부종합전형 전형방법 및 경쟁률·합격컷
대학 모집단위 전형명 모집
인원 전형방법 최저학력기준 2024
경쟁률 2023
합격컷
서울대 전기정보
공학부 지역균형선발 11 1단계:서류100(3배수)
2단계:1단계70+면접30 국,수,영,탐(2) 3합7 4.73 1.13
연세대 전기전자
공학부 활동우수형 36 1단계:서류100(4배수)
2단계:1단계60+면접40 수+국/탐(1) 2합5,영3,한4 9.97 1.75
중앙대 전자전기
공학부 CAU융합형인재 9 서류100 미적용 32.25 1.88
고려대 전기전자
공학부 일반-
학업우수형 39 서류100 국,수,영,과(1) 4합8,한4 12.85 2.09
성균
관대 전자전기
공학부 탐구형 10 서류100 미적용 27.4 2.11
한양대 전기·생체공학부 (바이오메디컬공학) 서류형 10 학생부종합100 미적용 28.08 2.16
이화
여대 전자전기
공학과 미래인재 24 서류100 수+국,영,탐(1) 2합5 6.5 2.17
서울대 전기정보
공학부 일반 80 1단계:서류100(2배수)
2단계:1단계50+면접50 미적용 6.25 2.19
서울
시립대 전자전기컴퓨터공학부 학생부종합Ⅰ(면접형) 25 1단계:서류100(3배수)
2단계:1단계50+면접50 미적용 35.8 2.23
동국대 전자전기공학부 Do Dream 29 1단계:서류100(3.5배수)
2단계:1단계70+면접30 미적용 13.41 2.42
건국대 전기전자공학부 KU자기추천 40 1단계:서류100(3배수)
2단계:1단계70+면접30 없음 20.2 2.48
홍익대 전자전기
공학부 학교생활우수자 48 서류100 국,수(기미),영,과(1) 3합8,한4 9.62 2.49
중앙대 전자전기
공학부 CAU탐구형인재 15 1단계:서류100(3.5배수)
2단계:1단계70+면접30 미적용 20.5 2.59
서울
과기대 전기정보
공학과 학교생활우수자 31 1단계:서류100(3배수)
2단계:1단계70+면접30 미적용 8.68 2.92
한양대 전기·생체
공학부
전기공학) 서류형 14 학생부종합100 미적용 12 2.94
광운대 전기공학과 광운참빛인재
전형Ⅰ(면접형) 15 1단계:서류100(3배수)
2단계:1단계70+면접30 없음 6.53 3.24
단국대 전자전기
공학과 DKU인재
서류형 14 서류100 없음 13.07 3.24
숭실대 전기공학부 SSU미래인재 25 1단계:서류100(3배수)
2단계:1단계50+면접50 미적용 11.24 3.24
인하대 전기공학과 인하미래인재 27 1단계:서류100(3.5배수)
2단계:1단계70+면접30 미적용 11 3.31
상명대 전기공학
전공 상명인재 4 서류100 미적용 13.13 3.6
한국
교통대 철도전기
정보공학과 나비인재Ⅱ 15 서류100 미적용 4.33 3.64
명지대 전기공학과 명지인재서류 5 서류100 미적용 10.6 3.99
가천대 전기공학과 가천바람개비 10 1단계:서류100(5배수)
2단계:1단계50+면접50 없음 16 4.23
명지대 전기공학과 명지인재면접 14 1단계:서류100(4배수)
2단계:1단계70+면접30 미적용 10.21 4.3
한국
공학대 에너지전기
공학과 창의인재(면접) 14 1단계:서류100(4배수)
2단계:1단계70+면접30 미적용 5.33 4.46
안양대 정보전기전자공학과 아리학생부종합Ⅱ 20 서류100 미적용 10.3 5.19
고려대 전기전자
공학부 일반-
계열적합형 20 1단계:서류100(5배수)
2단계:1단계50+면접50 없음 10.11
광운대 전기공학과 광운참빛인재
전형Ⅱ(서류형) 7 서류100 없음 7.14
단국대 전자전기
공학과 DKU인재
면접형 6 1단계:서류100(3~4배수)
2단계:1단계70+면접30 없음 16.33
서울
시립대 전자전기컴퓨터공학부 학생부종합Ⅱ(서류형) 5 서류100% 국,수,영,탐(1) 2합5,한4
성균
관대 전자전기
공학부 융합형 45 서류100 미적용 14.31
성균
관대 전자전기
공학부 과학인재 10 1단계:서류100(7배수)
2단계:1단계70+면접30 미적용 9.9
인천대 전기공학과 자기추천 21 1단계:서류100(3배수)
2단계:1단계70+면접30 미적용 6.95
한경대 전자전기
공학부 잠재력우수자 32 서류70+면접30 미적용 4.63
한양대 전기·생체
공학부
(전기공학) 추천형 5 학생부종합100 국,수,영,탐(1) 3합7
한양대 전기·생체공학부 (바이오메디컬공학) 추천형 4 학생부종합100 국,수,영,탐(1) 3합7
*2024. 4월 기준
학종은 기본적으로 성적으로 선발하는 전형이 아니다. 따라서 학교 수업에 충실하고, 충분히 충실하다고 생각한다면 수업에 집중해서 단 1점이라도 올리려는 마음자세를 가지자. 그러면 학종 준비는 되는 것이다.
노력하는 자세가 있고, 성적이 나쁜 것을 인정하지 않고 조금만 노력하면 좋아진다고 믿으면서 그것을 고치려고 실행하는 학생이라면 학종에서 좋은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이처럼 행동한다면 생각보다 훨씬 좋은 결과를 가져올 수 있을 것이다.
학생부종합전형은 이렇게 학교생활을 하는 것만으로도 2등급 정도 상회하는 대학에 지원할 수 있는 조건이 된다. 물론 모든 학생에게 적용되는 것이지만, 특히 4등급에서 9등급 학생들의 그룹이 가장 크게 혜택을 볼 수 있다. 2, 3등급의 학생들은 이것만 가지고 볼 수 없지만, 자신의 학교생활을 100%, 120% 기록하는 것만으로 혜택을 보는 학생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학생부종합전형 등급컷은 학생부교과전형 합격컷에 비해 평균 1등급에서 2등급 정도 낮은 등급에서 합격 70%컷이 나온다. 현재 교과컷에서 1~2등급 낮은 학생들은 이 대학들도 가시권에 두고 학종을 준비하면 된다. 따라서 4등급, 5등급이라고 해도 학종에서 요구하는 학교생활을 통해서 역전을 꿈꿔도 된다.
*에듀진 기사 URL : http://www.eduj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46376